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서비스 메뉴
학회소개
인사말
학회연혁
학회조직
임원진소개
학회규정
오시는길
학술행사
정기학술대회
지난 학술대회 보기
학술상
젊은 연구자상
역대수상자
공지사항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포토갤러리
회원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가입
로그인
학회소개
인사말
학회연혁
학회조직
임원진소개
학회규정
오시는길
학술행사
정기학술대회
지난 학술대회 보기
학술상
젊은 연구자상
역대수상자
공지사항
공지사항
포토갤러리
포토갤러리
회원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서브메뉴
메인 바로가기
2024년도 수상자
툴젠 젊은연구자상
서상연
리퀴드크리스퍼 / 연구소장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유전자 가위인 SpCas9의 큰 사이즈로 인한 전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7종의 소형 Cas9 단백질을 비교 분석하여 SpCas9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소형 Cas9을 확인
KAGE 젊은연구자상
박주찬
서울대학교 / 대학원생
생성형 AI를 통해 mismatch repair를 저해하는 small binder를 제작 및 활용하여 고효율의 프라임 편집기술을 개발
2023년도 수상자
툴젠 젊은연구자상
이승호
서울대학교병원 / 임상강사
Base Editor와 Adenine Base Editor를 이용한 Cancer mutation high-throughput screening
KAGE 젊은연구자상
목영근
그린진 / 연구원
식물 엽록체 DNA의 adenine 염기 교정을 통한 항생제 저항성 식물 개발
2022년도 수상자
툴젠 젊은연구자상
송명재
연세대학교 / 박사후연구원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의 효율 및 정확성 예측 모델 개발 및 프라임편집기의 효율이 개선된 시스템 개발
KAGE 젊은연구자상
조성익
서울대학교 / 대학원생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의 아데닌 염기교정 기술 최초 개발
2021년도 수상자
툴젠 젊은연구자상
홍성아
한양대학교 / 박사과정
유전자교정 기술을 활용하여 난치성 간질환, 로렌조 오일병 등 여러 유전질환을 모델 시스템에서 치료하는데 성공하였다.
KAGE 젊은연구자상
김도연
진코어 / 연구원
초소형 유전자가위 Cas12f1을 개발하고 유전자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20년도 수상자
툴젠 젊은연구자상
박한슬
동국대학교 / 연구전담 조교수
기존 바이러스 벡터를 유전자교정 시스템 전달체로 사용하는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Nanoparticle을 전달체로 사용하여 Cas9의 뇌질환 치료효과를 최초로 검증함. 이는 향후 다양한 in vivo 유전자교정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한 의미 있는 논문으로 평가됨.
KAGE 젊은연구자상
성기원
서울대학교 / 박사후연구원
Cas9 단백질을 구성하는 다양한 도메인 중에서 지금까지 역할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REC2 영역이 타겟 DNA 표적 선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최초로 밝혀냄. 이는 향후 유전자가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제공함.
2019년도 수상자
툴젠 젊은연구자상
김희권
연세대학교 / 박사과정
CRISPR-Cpf1 유전자가위를 고처리량으로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알려진 것이 제한적이었던 Cpf1 유전자가위의 PAM 염기서열, 교정 효율 및 특이성에 대해 자세히 밝혀냄.
KAGE 젊은연구자상
김대식
생명공학연구원 / 연구원
절단 유전체 시퀀싱 기법 (Digenome-seq)을 개발하여 CRISPR-Cas9의 정확성을 측정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CRISPR-Cpf1의 정확성을 측정하여 CRISPR-Cpf1이 CRISPR-Cas9에 비해 정확성이 더 뛰어남을 밝혀냄.